-
반응형
재테크
재테크는 무엇일까? 재테크라는 말은 재+techneque을 합성한 단어입니다. 여기서 재의 경우 돈을 뜻하며, techneque의 뜻은 기술이기에 우리말로 번역을 하면 돈을 굴리는 기술이라는 뜻입니다.
최근 많은 사람들이 재테크를 하고 있습니다. 그 이유는 요즘 경기가 점점 어려워지고 있는 것과 월급만으로는 미래가 전혀 보이지 않기 때문에 많은 사람들이 재테크에 도전을 하고 있습니다.
재테크를 할 때 알아야 하는 용어들이 있습니다. 하나하나 자세하게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해당 용어들을 알게 된다면 본격적인 재테크를 시작할 수 있습니다.
재테크 자산 3분법
자산 3분법의 경우 자신이 가진 재산을 부동산과 금융상품 및 주식에 골고루 나누어서 투자하는 것을 말합니다. 여기서 어느 한 곳에 전재산을 전부 투자했다가는 망할 가능성이 매우 높기 때문에 이러한 위험성을 막기 위한 대처입니다. 어느 재테크에 몇 %를 투자해야 하는지 알아야 하는 법칙이 있다는 것이 아닙니다.
본인의 성격과 그때마다 달라지는 경제상황에 따라 비율을 조절할 수 있습니다.
만약 은행금리가 높다면 근융상품에 상대적으로 많은 비율로 투자를 진행해야 하며, 더 나아가 물가가 많이 오를 것으로 예상된다면 부동산에 많이 투자하고, 주식시장이 잘 될 것으로 예상된다면 주식에 좀 더 많은 투자를 진행하면 됩니다.
이러한 투자법을 이용하여 자산 3분법을 진행한다면 재테크를 함에 있어서 위험요소를 많이 줄일 수가 있습니다. 만약 어떻게 분산을 해야 할지 정말 모르겠다면 전부 반반씩 나눠서 투자를 진행하는 것도 하나의 방법이 될 수 있습니다. 언제나 위험요소를 줄이는 것이 돈을 지키고 모으는데 제일 중요한 요소입니다.
재테크 현재가치법
30년 뒤에 받게 될 1억 원의 경우 현재 시세로는 얼마로 환산이 될지 생각을 해보았나요? 이러한 궁금증을 해결해줄 수 있는 것이 바로 현재가치 법입니다.
현재가치라는 말은 미래에 생길 돈이 요즘 돈으로는 얼마가 되는지를 판별해주는 공식으로 현재가치 법의 공식은 다음과 같습니다. 이러한 가치 변화를 알고 있어야 재테크를 진행함에 있어서 필요성도 느끼는 것입니다.
현재가치 법은 1+물가상승률/미래의 돈입니다. 현재가치 법을 이용하여 30년 뒤의 1억 원을 계산한다면 요즘 돈으로는 얼마가 되는지 알 수 있습니다. 매년 물가가 5%가 상승한다고 치면 30년 뒤의 1억 원은 요즘 돈으로 2300만 원 밖에 안됩니다.
과거 물가의 금액을 생각해본다면 터무니없는 숫자는 아닙니다. 이렇게 재테크를 함에 있어서 아무리 적금을 들고 저금을 해봤자 금융이자가 물가상승률을 따라잡을 수는 없기 때문에 재테크를 통해 물가상승률 이상의 돈을 수익으로 얻어야 잘 먹고 잘 살 수가 있는 것입니다.
반응형'재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브렉시트 이후의 무역 (0) 2021.02.13 예금자 보호법 (0) 2021.01.28 금리 상승과 하락 (0) 2021.01.25 금리와 재테크1 (0) 2021.01.24